말씀묵상

1월 30일(화) 역대상 23, 24장

벧엘교회 2024. 1. 29. 00:00

말씀읽기

23장

https://youtu.be/7L5c2lfzK30?si=X__Gu3r8wyT0DSPx

 

24장

https://youtu.be/yPGzjeDBM-E?si=ZS6EWDuC4ZADlwDT

 

묵상가이드

역대상 23~27장

더보기

아름답고 호화스러운 성전이지만, 그 성전에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유익을 주는 사역이 계속 되지 않는다면, 그 성전은 돈을 낭비한 것에 불과하다. 그래서 죽기 전에 다윗은 성전에서 일할 사람들을 조직하고 적절한 지도자들을 세웠다. "모든 것을 적당하게 하고 질서대로 하라"(고전 14:40).

하나님의 일에는 제사장들과 레위인들과 음악하는 사람들과 출납을 담당하는 사람들과 성문지기와 군사들과 관리 등 여러 다양한 사람들의 헌신된 봉사가 요구되었다. 우리 각자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따라서 우리가 맡은 자리와 우리가 해야 할 일에 충실해야 한다. 교회를 세우는 일에 동참하고, 가장 좋은 것을 하나님께 드려야 한다(마 16:18, 엡 2:19~22).

음악가였던 다윗은 성전 음악이 잘 마련될 수 있도록 특별히 마음을 많이 썼던 것이 분명하다. 하나님이 그에게 훈련되고 숙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들을 보내주셨다(25:7). 그러나 그들이 해야 할 일은 그들의 재능을 과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었다(25:3). 당신은 하나님을 찬양하면서 하루를 시작하고, 또 하루를 마무리하고 있는가(23:30)?_워렌 위어스비, 「말씀묵상365」

 

역대상 23장

성전 건축과 예배를 준비하는 노년의 다윗(23:1~2)
22장에서 성전 건축을 위한 재료들과 건축가들을 준비한 다윗은 이제 성전 건축을 주도할 자들과 성전에서 섬길 자들을 준비한다. 즉, 연로한 다윗은 먼저 솔로몬을 이스라엘 왕으로 삼고 이스라엘 모든 방백들과 제사장들 그리고 레위인들을 소집한다. 성전 건축에 대한 준비가 성전을 건축할 솔로몬의 왕위 계승과 함께 이뤄짐을 알 수 있다. 22:10 이하에서 다윗이 말한 것처럼 솔로몬은 성전을 건축할 왕이다(참고 28:6). 이런 솔로몬의 공식적 왕위 계승이 29:22에서 다시 언급되고.29:28에서 다윗의 죽음과 솔로몬의 왕위 계승이 또 한 번 언급된다. 노년의 다윗이 솔로몬을 왕으로 삼은 것에 대한 반복적인 언급은 성전건축과 관련해 중요한 일임을 뜻한다.
이런 측면에서 23장 이하에서 보이는 솔로몬의 왕위 계승과 함께 진행되는 성전 건축과 예배를 위한 여러 가지 준비는 다윗 통치의 절정과 결론에 해당한다. 이것은역대하 1장부터 본격적으로 서술되는 솔로몬 통치에 대한 서론 역할을 한다. 다윗은 성전 건축과 예배와 관련해 모든 방백들과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을 소집하는데 3절 이하에서 레위인들(23:3~32; 24:20~26:32), 제사장들(24:1~19), 방백들(27장)이라는 역순으로 소개한다. 따라서 2절은 사실상 23~27장 전체의 제목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레위인들의 조직과 직무(23:3~32)
3~23절은 레위인들의 가족별 구분과 이들이 하는 일들에 대해 언급한다. 성전에서 일할 레위인들은 30세 이상(아마 50세 이하까지, 민 4:3) 남자들인데 38,000명으로 파악된다. 반면에, 24절은 여호와의 전에서 섬기는 일을 하는 20세 이상의 레위 자손들을 언급한다(참고 대하 31:17; 스 3:8). 3절과 달리 24, 27절에서 레위인들의 최소 나이가 20세 이상으로 소개되고 있는 것은 역대기가 이스라엘의 다양한 기간(뒤에 일어난 일)을 함께 고려해 서술했다는 점과 일의 성질이 젊은 나이를 요구했음을 보여 준다. 27절은 다윗의 유언에 따라 레위인들을 20세 이상으로 조정해 계수했음을 뜻한다. 다윗은 성전 건축 후에 성전에서 여러 가지 일들로 인해 더 많은 레위인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나이를 조정했을 것이다. 이런 레위인들의 조직은 먼저 6~23절에서처럼 레위의 아들들인 게르손과 그핫과 므라리의 족속에 따른 전통적 구분을보여 준다(출  6:16~19; 민 3장; 대상 6장).
또한 레위인들은 그들의 직무에 따라 구분된다.4~5절에서 대부분의 레위인들은 여호와의 전 사무를 보살피는 자들이고 나머지는 유사와 재판관(참고 대하 19:8,11; 신 17:9)과 문지기로 일하거나 다윗이 여호와를 찬송하기 위해 만든 악기로 찬송하는 일을 맡은 자들이다. 여호와의 전 사무를 보살피는 자들은 성전에서 일반적인 행정과 예배를 돕는 사람들일 것이고 유사는 기록을 담당하는 서기관들일 것이다. 특히 여호와의 전에서 섬기는 일과 관련된 레위인들의 직무를 24~32절에서 상세히 소개한다. 먼저 다윗은 건축될 성전에서 하나님을 예배하는 데 있어서 레위인들의 직무가 전환되어야 함을 미리 알고 준비한다(25 ~26절). “레위 사람이 다시는 성막과 그 가운데서 쓰는 모든 기구를 멜 것이 없다 한지라"(26절).
민수기 3~4장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해 온 성막과 그것의 모든 기구들에 대한 돌봄이 아닌 여호와께서 영원히 거하실 성전과 관련해 레위인들이 사역할 새 시대를 바라보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다윗의 예측과 준비는 레위인들의 나이를 30세 이상에서 20세 이상으로 조정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27절). 이들의 직무는성전에서 아침과 저녁으로 성물을 드릴 때 아론 자손들을 돕고 찬송을 하며 절기에 번제를 드린다(28~32절).

 

역대상 24장

제사장들의 조직과 직무(24:1~19)
여호와의 전에서 아론의 자손들을 돕는 레위인들의 직무에 대해 언급한(23:28~32) 후에 24장은 아론의 자손들로 이뤄진 제사장들에 대한 조직과 직무를 보여 준다. 아론의 아들들은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인데, 나답과 아비후의 죽음으로 엘르아살과 이다말이 제사장의 직분을 행했다. 다윗은 아론의 남은 두 아들의 자손들인 사독과 아히멜렉과 함께 제사장들의 조직과 직무를 정한다(3절). 4절은 엘르아살 자손의 족장이 16명이고 이다말 자손의 족장이 8명인 것을 알려주는데 이다말의 자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엘리 집안의 재난 특히 놈에 었던 제사장들이 사울에 의해 죽임을 당했기 때문일 것이다(창고 삼상 22:11 이하).
5절은 엘르아살 자손의 수가 이다말 자손의 수보다 많지만 제비를 뽑아 나눴기에 제사장 직분의 수행은 숫자 외에 아무런 차등이 없음을보여 준다(참고 24:31; 25:8; 26:13). 여기서 “성소의 일을 다스리는 자와 하나님의 일을 다스리는 자”는 동의어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6절 이하는 제사장 직무의 순번이 엘르아살과 이다말의 자손 중에서 각각 16반차씩 제비 뽑아 진행되었음을 말한다. 제사장들의 반차들에 속하는 이름들은 개인이 아니라 한 가족을 대표하며, 이 순서는 제2성전 시대의 마지막 기간까지 계속된다.10절의 학고스는 에스라 2:61과 느헤미야 7:63에도 등장한다. 반면에, 여기에만 등장하는 포로 후기의 제사장들로 여겨지는 이름들도 있다(스오림 등). 아비야는 누가복음 1:5에서 언급하는 것처럼 스가랴가 속한 제사장 집안이다.
24반차의 조직을 가진 제사장들은 보름을 주기로 성전에 들어가 여호와께서 조상 아론에게 명하신 규례대로 섬긴다(19절). 결국 제사장의 직무는 아론이 하던 일과 관련 있는데, 23:13에서 아론은 “그 자손들과 함께 구별되어 몸을 성결케 하여 영원토록 지극히 거룩한 자가 되어 여호와 앞에 분향하며 섬기며 영원토록 그 이름을 받들어 축복하게”하는 일을 했다. 아론의 자손인 제사장들의 직무는 여호와 앞에 분향하며 축복하는 것이다. 이것은 한편으로 다윗이 정한 제사장들의 구분과 직무가 여호와께서 명하신 규례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힌다.

 

남은 레위인들(24:20~31)
여기에 소개되는 남은 레위인들의 이름은 23:6~23과 연결되는데 하나의 확장을 보여 준다. 즉, 그핫의 다섯 가족과 므라리의 한 가족이 한 세대 확장되어 언급된다(웃시엘 집안은 사밀까지, 23:20; 24:24). 그리고 게르손 자손이 생략되는데 여기서도 역대기 저자는 당시 상황을 포함한 많은 기간의 기록을 함께 언급한다. 또한 23:6~23과 병행을 이뤄 레위인들의 직무(23:24~32)와 제사장들의 구분(24:1~19)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레위인과 제사장의 긴밀한 형제 관계를 보여 준다. 31절은 남은 레위인들도 제비 뽑힌 아론의 자손들처럼 ‘장자의 종가와 그 아우의 종가’사이에 차이가 없음을강조한다._「두란노HOW주석, 역대상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아카데미


 

1. 다윗은 새 시대를 바라보며, 하나님을 예배하는 데 있어서 레위인들의 직무가 전환되어야 함을 미리 알고 준비하였습니다(25 ~26절). 새 시대에 맞추어 내 삶에도 전환되어야 할 부분이 있지는 않습니까? 또한 그것을 위해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까?

 

2. 여호와께서 명하신 규례에 근거하여 아론의 자손인 제사장들은 여호와 앞에 분향하며 축복함으로 직무를 감당하였습니다. 매일매일의 삶 속에서 분향하며 축복하는 직무를 감당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