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7일(수) 역대하 3, 4장
말씀읽기
역대하 3장
https://youtu.be/qsHdQuOKe4k?si=Xfl91H-EyTRPOdqT
역대하4장
https://youtu.be/gE1oP1zGzBs?si=2k4q8IdlhsYOQ7MJ
묵상가이드
성전의 자리가 갖는 상징성: 희생과 용서(대하 3:1~2; 5:1)
열왕기는 성전 건축의 시점을 출애굽 이후 480년이라고 언급함으로써 성전이 출애굽의 완성이라는 의식을 보여준다(왕상 6:1). 그러나 역대기는 성전의 지리적 위치 그리고 역사적 관심을 통해 성전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한다. 역대기는 성전의 위치를 다음과 같은 도식으로 설명한다.
모리아산 ← 다윗에게 나타나신 곳 ← 아리우나 타작 마당
모리아산은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물로 드리기 위해 칼을 들었고(창 22:1~19) 하나님이 이삭을 위해 제물을 준비하셨던 곳이다. 모리아산은 희생과 하나님의 자비가 나타낸다. 역대기 기자는 모리아산에 대해 여호와가 다윗에게 나타난 곳이라고 한다. 이것은 역대상 21:9~30의 사건으로 다윗의 범죄로 인해 여호와의 사자가 예루살렘을 파멸키 위해 칼을 들었으나 하나님이 그 칼을 멈춘 장소다. 그곳이 바로 아리우나의 타작 마당이다. 다윗은 그곳에서 번제와 화목제를 드렸고 그 이름을 ‘여호와 하나님의 집’(대상 30:1)이라고 했다. 역대기는 성전을 위치 및 역사적 사건의 의미와 관련시키고자 한다. 한 장소에서 발생한 두 사건이 보이는 것은 희생과 하나님의 자비 및 용서다. 이 개념은 성전의 기능과 동일하다. 성전은 희생 제사가 있는 곳이며 하나님의 자비와 용서가 나타나는 곳이다.
성전의 구조(대하 3:3~7)
역대하 3:3~7은 성전 규모, 낭실(현관)의 규모와 장식, 대전(본관)의 장식을 소개한다. 성전 규모와 관련된 저자의 독특한 인식은 옛 측량 단위의 제시다. 성전의 길이 60규빗, 넓이가 20규빗이다. 낭실 장식 설명에서 주목할 사항은 ‘정금’이다. 대전 즉 본관은 두 가지 방법으로 그 영광을나타낸다. 하나는 천장을 잣나무로 만든 후에 정금으로 입히고 종려나무와 사슬 형상을 새겼음을 보고한다. 다른 하나는 보석과 바르와임 금(대하 3:6)으로 화려하게 전과 구조물들을 꾸였다고 보고한다. 공통적으로 성전이 금으로 장식했음을 강조한다.
지성소(대하 3:8~14)
역대기는 지성소의 규모와 두그룹의 모습 그리고 규모, 방향을 설명한다. 열왕기(왕상 6:19~22)와 달리 지성소에 정금 600달란트를 사용했음을 강조한다. 또한 지성소에 금으로 입힌 두 그룹의 형상이 외소를 행했다고 기록한다. 그리고 문장 즉 휘장에 대해서도 열왕기와 달리 청색, 자색, 홍색실, 고운 베로 만든 휘장과 그 위에 그룹을 새겼음을 언급한다. 광야의 성막도 휘장으로 성소와 지성소를 구별한다(출 26:31~33; 36장). 이는 역대기가 솔로몬의 성전과 성막과 연결시키고 나아가 에덴과 연결시키고 있다. 에덴에서 아담은 하나님을 섬기며 하나님을 만나 교제했다. 지성소는 이스라엘이 우주의 통치자이신 하나님을 만나는 자리였고 하나님이 그들을 통치하시는 장소였다.
성전 기둥, 야긴과 보아스(대하 3:15~17)
역대기의 기자는 지성소를 설명한 후에 성전 앞 두 기둥의 규모, 장식, 위치, 이름을 소개한다. 두 기둥에 관한 역대기 기자의 정보 제공에 대해 학자들의 토론이 있다. 그러나 역대기의 기자는 두 기둥의 이름에 주목한다. 우편 기둥은 야긴, 좌편 기둥은 보아스다. 야긴과 보아스의 의미에 대해 다양한 주장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야긴은 ‘그가 세울 것이다’, 보아스는 ‘그에게 능력이 있다’라는 뜻이다. 역대기의 문맥에서 기둥과 관련된 본문은 역대상 18:8로 다윗이 하닷에셀 성읍에서 빼앗은 노획물로 솔로몬이 기둥을 만들었다고 기록한다. 따라서 이런 역사적 언급을 반영한다면 기둥은 상정적 기념비로 하나님께서 주신 승리와 평화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하나님의 위엄과 권위에 대한 찬송적 표현임을 짐작할 수 있다. _「두란노HOW주석, 역대상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아카데미
1. 성전은 희생 제사가 있는 곳이며 하나님의 자비와 용서가 나타나는 곳입니다. 하나님의 자비와 용서를 토대로, 하나님을 섬기며 하나님을 만나 교제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까?
2. 나의 삶은 '그가 세울 것이다', 그리고 '그에게 능력이 있다'는 고백 위에 세워져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