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읽기
4장
https://youtu.be/KjTQa2RmZUA?si=Kkq6PktvrZlPKcQt
5장
https://youtu.be/9reo7QpRkGQ?si=qFXh17lqLlSN40aF
묵상가이드
4장
적은 우리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 그리고 망설이지 않고 우리와 싸우려 할 것이다. 반대를 예상하고 준비하라. 적이 사용하는 그리고 사용하게 될 다음 무기들에 주목하라.
조롱(Mockery, 1~6절). 적은 우리가 하는 일이 중요하지 않다고 우리가 생각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 일을 할 만한 힘이 우리에게는 없다고 생각하거나, 일을 마친다 해도 그리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기를 바란다. 다시 말해서 그는 우리가 하는 일은 아무 가치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우리가 포기하기를 바란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는 일은 하나님의 일이며, 따라서 중요한 일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라(19절, 6:3). 지극히 크신 하나님을 항상 바라보라(14절, 1:5,10).
협박(Threats, 7~9절). 우리를 놀리는 데 실패한 원수는 우리를 놀래주려고 할 것이다. 유대인들은 에베소서 6장 10~18절을 실천했다. 그들은 무장을 했다. 그리고 기도하면서 일을 계속 진행했다.
두려움(Fear, 10~23절). 성 밖에 사는 유대인들은 적의 계획에 관한 무시무시한 이야기들을 가지고 성 안으로 들어왔다. 하나님의 위대하심은 우리가 다른 사람으로 인한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주신다(14절). 이에 더하여 희생을 치른다 할지라도 일을 계속하려는 우리 자신의 의지 또한 필요하다.
"경계하며 기도하라!"
이 말은 적의 동태를 살피는 동시에 하나님을 신뢰하라는 뜻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그리스도의 재림을 준비하고(막 13:33), 유혹(막 14:38)과 사탄(엡 6:18)을 물리치고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리고 사역의 문을 열고 그 기회를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골 4:2~6).
5장
이제 적은 내부로부터 공격을 가하기 시작했고, 느헤미야는 자기 동족들의 이기심과 탐심을 다루어야 했다. 부유한 유대인들이 기근과 경제적 위기를 이용해 자기 동족을 착취했다(학 1:7~11). 느헤미야는 그런 그들에게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분노(Anger, 6절). 죄에 대한 의분 그 자체는 죄가 되지 않는다(엡 4:26). 비록 사람들에게 화를 내지 않는 것이 어렵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그들이 어떤 사람들인지보다는 그들이 무슨 일을 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참조 - 출 32:19, 막 3:5). 분노하지 않는 사람은 용기와 확신이 없는 사람일 수도 있다.
"벌컥 화를 내기는 쉽다. 누구나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때에 적절한 사람이나 적절한 대상에게 적절한 방법으로 적당하게 화를 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_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신중(Deliberation, 7절). 먼저 깊이 생각하지 않은 채 지휘하고 통솔하는 것은 느헤미야의 방식이 아니었다(잠 18:13, 29;22). 그가 하나님의 지혜를 구하기 위해 기도한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결단(Resolution, 7~13절). 느헤미야는 일단 할 일을 정한 후에는 반드시 그렇게 했다! 그는 그들의 사랑(7절에서 '형제'라는 말을 사용)과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그들의 헌신에 호소했다(출 22:25). 그는 그들에게 하나님을 경외할 것과 적에게 증인이 되어야 할 것을 상기시켜주었다(9절).
귀감(Example, 14~19절). 느헤미야가 이타적이고 희생적인 사람이 아니었다면 그는 그렇게 호소할 수 없었을 것이다(마 7:1~5). 그는 아낌없이 백성들을 도왔고, 총독이라는 그의 지위를 이용하려 하지 않았다. 깨끗한 양심은 하나님의 손에 들려 있는 강력한 무기다. _워렌 위어스비, 「말씀묵상365」
1. 원수의 반대 속에서도 한 손으로 일을 하며 한 손에는 병기를 잡고 하나님의 일을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까?
2. 느헤미야와 같이 하나님께서 주신 지위(은사)를 통하여 아낌없이 하나님의 백성을 돕고, 하나님의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습니까?
'말씀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23일(토) 느헤미야 7장 (1) | 2024.03.22 |
---|---|
3월 22일(금) 느헤미야 6장 (1) | 2024.03.21 |
3월 20일(수) 느헤미야 3장 (1) | 2024.03.19 |
3월 19일(화) 느헤미야 2장 (2) | 2024.03.18 |
3월 18일(월) 느헤미야 1장 (1) | 202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