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읽기
100편
https://youtu.be/jQYwikdIfj8?si=QVcZM1tZL7zJ0AWp
101편
https://youtu.be/HgrzrwiT7hs?si=ODdjiQ0h_VraM4wq
묵상가이드
100편
송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구 백편(old Hundredth, 찬송가 1장)'이라 불리는 찬송가는 이 시편을 기초로 한 것이다. 하나님께 감사하는 것은 우리의 입술뿐 아니라 우리의 삶으로 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삶으로 예배할 수 있는가?
섬김으로(By serving, 2절). 예배당 문 위에는 "예배하기 위해 이 문 안에 들어서고, 섬기기 위해 이 문을 나가라"고 잘 보이게 쓰여 있어야 한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주님이 아니라 자신을 섬긴다. 또한 '기쁨으로' 주님을 섬기지 않는 경우가 너무 많다. 주님은 기쁘게 섬기는 종을 사랑하신다.
복종함으로(By submitting, 3절). 피조물로서 우리는 우리를 지으신 창조주께 복종해야 한다. 양 떼로서 우리는 우리를 위해 돌아가시고, 우리를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 우리의 목자께 복종해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를 창조하셨을 뿐 아니라, 우리가 하나님께 복종할 때 우리를 만들어가신다(엡 2:10). 복종은 완성을 뜻하는 것이다.
희생함으로(By sacrificing, 4~5절). 제사장으로서 우리는 하나님께 영적 제사를 드릴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다(벧전 2:5). 그 제사에는 우리의 찬양(히 13:15)과 선행(히 13:16)과 물질적인 예물(빌 4:15~18)이 포함된다. 하나님의 성품(5절)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하신 일들 때문에 하나님은 우리의 감사를 받으시기에 합당한 분이시다.
'구 백편'
온 땅에 거하는 사람들아
여호와께 즐거이 부를지어다.
기쁨으로 여호와를 섬기며
노래함녀서 그 앞에 나아갈지어다.
여호와가 우리 하나님이신 줄 너희는 알지어다.
그는 우리의 도움 없이 우리를 지으신 자시오,
우리는 그의 것이니 그의 백성이요,
그의 기르시는 양이로다.
감사함으로 그 문에 들어가며
찬송함으로 그 궁정에 들어가서
그에게 감사하며 늘 그 이름을 송축할지어다.
그렇게 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로다.
여호와는 선하시고
그 인자하심이 영원하며
그 진실하심이 언제나 견고하고
그 성실하심이 대대에 미치기 때문이로다.
윌리엄 키드(William Kethe, 1560~61년 발표)
101편
다윗이 15번이나 "내가... 하리로다"라고 말하고 있는 이 시편은 결단과 헌신을 특징으로 한다. 그는 사특한(뒤틀린) 마음이나(4절) 교만한 마음(5절)이 아니라, 완전한(흠이 없는) 마음을 원했다(2절). 하나님 앞에서 완전하다는 것은 죄가 없다는 뜻이 아니다. 정직하고 가식이 없는 것을 말한다. 사도 요한은 그것을 '빛 가운데 행하는' 것으로 설명했다(요일 1:5~10).
다윗은 땅과 예루살렘 성에 공평이 있기를 바랐다(8절). 그러나 시민들의 의는 마음과 가정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2, 7절). 우리에게는 법을 공평하게 시행하는 정직한 사람들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가정에서부터 거룩한 삶을 살아가는 경건한 사람들이 있어야 한다.
우리는 무엇을 보고(3절), 무엇을 듣고(5절), 누구와 사귈 것인지(6~7절) 조심해야 한다. 헛된 것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거짓을 피하고, 하나님의 지혜 속에서 살아가야 한다(2,7절). 다윗과 달리 우리에게는 악한 자를 심판할 권세가 없다. 그러나 만일 우리의 마음과 가정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모습이라면, 도시와 나라에 미치는 우리의 영향력이 느껴질 것이다.
"힘 있는 성품은 일터에서 얻어지겠지만, 아름다운 성품은 가정에서 습득되는 것이다. 우리는 가정에서 애정을 배운다. 가정에서 온유함을 훈련하고, 진정한 천국에서의 삶을 습득한다. 한 마디로 가정은 그리스도인들을 지도하는 최고의 지휘자 역할을 한다." _ 필립스 브룩스(Phillips Brooks)
_워렌 위어스비, 「말씀묵상365」
1. 100편
'예배하기 위해 이 문 안에 들어서고, 섬기기 위해 이 문을 나가고' 있습니까?
2. 101편
'가정에서부터' 거룩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까?
'말씀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7일(수) 시편 103,104편 (0) | 2024.08.06 |
---|---|
8월 6일(화) 시편 102편 (0) | 2024.08.05 |
8월 3일(토) 시편 98,99편 (0) | 2024.08.02 |
8월 2일(금) 시편 97편 (0) | 2024.08.01 |
8월 1일(목) 시편 95,96편 (0) | 2024.07.31 |